본문 바로가기
미술

[스크랩] 직물의 분류

by 삭소롬 2008. 6. 12.

 평직물

    평직은 경사와 위사가 짜여지는 방법중 가장 간단하고 촘촘한 것임

    경사와 위사가 한올씩 교차함

    이웃하는 교차점은 모두 반대로 부출이 이루어짐

    평직은 교차점이 가장 많으며 섬유와 실의 종류, 밀도 및 가공에 좌우되기는 하지만 마찰강도가 가장 크고 실의 미끄러짐이 가장 작은 직물을 생산

    바티스트, 케임브릭, 다니걸, 프레스코, 호난, 머슬린, 태프타, 보일은 모두 평직


 능직물

    능직물에는 사선이 나타남

    능직의 최소 일순환조직의 크기는 3올의 경사와 3올의 위사로 된 것

    능선은 바로 옆 실이 하나씩 위(또는 아래)로 향하는 조직점 사이의 부출에 의하여 생긴 것

    능직물에는 캐벌리, 데님, 다이애거널, 개버딘, 트위드 등이 있음


 경수자직물과 위수자직물

    경수자직과 위수자직의 특징은 교차점이 균일하게 분포한다는 것

    적어도 5올의 경사와 5올의 위사로 일순환조직을 이루며 하나의 경사는 한번만 교차 이러면 부출이 길어져서 수자직물의 성질과 외양이 나타나고 표면과 이면은 매우 다르다. 직물로는 애틀라스, 도스킨, 경수자, 위수자, 베니션이 있다.


 크레이프직물

    강연사, 특별한 조직 및 특수가공, 또는 이 방법들을 조합하는 방법으로 오돌토돌하고 불규칙한 재질을 가짐

    꼬임이 매우 많은 크레이프로 만들며 가볍고 부드러우며 불규칙적이고 모래와 같은 느낌의 촉감을 갖음


 이부직, 자수직 및 파일직 직물

    경,위사 외에 또 한 세트의 실을 사용하면 더 강해지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무겁고 두꺼워지며 무늬가 첨가되기도 하고 특수한 표면재질의 직물을 얻을 수 있음

    컷 파일 직물은 직물의 표면에 컷 파일이 형성되도록 제3의 실을 넣어 만든 직물

    파일이 짧은 직물을 벨벳이라 하고 파일이 긴 것을 플러시라 함


 피케직물

    이 직물은 누비와 같은 재질의 표면을 띰

    요즘 피케라는 용어는 직물 또는 편성물로 규칙적으로 돌출된 재질의 표면을 나타내는 여러 종류의 직물에 사용



 
출처 : 직물의 분류
글쓴이 : 혜련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