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술

[스크랩] 구조주의와 하이테크

by 삭소롬 2009. 9. 16.

제9강 구조주의와 하이테크

◆ 구조미학과 구조주의

 

※학습목표
구조미학에 대해 이해하고 구조주의의 특성을 파악한다.

 

▲ 구조미학에 대해서

 

① 양식 운동은 아니고, 구조로 풀어가려는 어려 가지 시도 중에 하나임.
- 칼리트라바, ARUP & ARUP Associates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퐁피듀 센터)
- 건축과 구조의 상호 연광성에 새로운 지평을 염.
- 구조가 설계의 하부구조가 아닌 동등함으로 작용.


② 미학적 위치 자리매김
- 독일 공장 건축 , RC구조를 이용한 특수형태들
- 네르비: 특수구조 치중


③ 모더니즘 시대의 구조미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장을 염.
- 특수구조, 구조 반복 - 하이테크
- 특수형태, 자연생명- 신표현주의
- 고딕 차용- 역사주의
- 네오바로크- 형태 만들기 위한 구조적 도움
- 타양식과의 공유성


④ 거시적 관점: Second Machine Age
- 철기문명- 산업문명- 디지털시대

 

 

▲ 구조주의 (Structualism)

 

① 네덜란드에서 대표적으로 진행됨.
- Dutch Structualism
② 테크놀로지에 대한 60년대적 해석, 기계문명에 대한 존재론적 고민
- 생산성 관점: 연속해서 수정적으로 받아들이려는 경향
(단위- 부분과 전체라는 철학적 틀 내에서 건축 고민- 단위문제- 구조주의)

 

 

 

◆ 구조주의와 하이테크

 

※학습목표
구조주의와 하이테크의 특성들을 살펴본다.

 

▲ 구조주의에 대해서

 

① 도시 내의 건축적 환경
- 최선의 환경을 찾는 문제
- 역사적 연속성, 주변의 물리적 골격, 스케일의 연속성
Enthropology 적인 연구
- 테크놀로지의 존재를 인정하겠다는 입장

 
② 단위의 문제
- 실에서 세대에 이르는 스케일 변화
- 생산성 문제가 크게 작용하고 스케일 변화에 따른 건축 구성 개념 변화를 주려는 다 변성을 주려는 개념들, 물리적 크기 모듈 건축 단위라는 것이 이것의 행태를 담는 문 화 인류학적 콘텐츠가 들어간 고민이 들어간 복합체 개념으로 건물을 정의하고자 함.


③ Pattern Language
- 인간의 행태에 따른 공간을 연구
- ‘몸 숨기기’ 공간 연구
(모더니즘의 엘리트주의는 공간이 행태를 결정한다는 건축 결정론을 보여준다.)
- 상호보완성, 생산성과 정형성 두 사이를 적합하게 다루고자 함.


④ 층의 다원화

- 실내 건물 -> 건물-> 실내도시-> 도시처럼 층을 다원화한다.


⑤ 동일 유닛의 반복 증식, 유기체적 증식, 공간개념
- 유기체적 개념 단위들의 상호관계: 이것에 의해서 공간의 특징이 결정.
- 중심성과 탈중심성을 대표적인 예로 들었다.
- 미로적 명쾌함: 전체와 부분 사이에 쌍개념 통합으로 만들어진 공간적 특징.

 

 

▲ 하이테크 (Hightech)

 

① 건축으로써의 첨단이미지를 표현하려는 운동.
-디자인이 중요시 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것이 첨단이미지
-생산성의 개념을 연성시키는 동시에 표준화개념을 강화하는 역할을 함.
-공예성의 전통을 모던테크놀로지에 결합하고자 함.


② 소비사회이미지와 첨단이미지를 실현하고자 함.
- 설비구조를 노출하고자 함.
- 기계공조 시설들을 디자인해서 조형 어휘로 씀.


③ 건축구조는 metal & glass에 치중함.


④ 생산성을 소비개념으로 재해석하여 생산성을 강화하려는 이미지 등장.
-건축적인 입장에서 치중한 것이 후기 모더니즘이고,
첨단이미지를 갖춘 것이 하이테크임.


⑤ 대량생산의 관점에서 효율성이 가장 높은 표준화개념 모델을 찾아내려함.


⑥ James Stirling
- 하이테크는 영국에서 시작
- 포스트모더니즘을 대표하는 미적 감각이 뛰어난 건축가
- omni plath 개념 공간을 구조부재와 함께 엮으려는 구조


⑦ 구조방식
- R rogers의 Innos Factory, Piano & Rogers, 퐁피듀 센터
N Foeter 홍콩 상하이 은행,
Rogers의 런던 로이드은행,
- 장 르벨: 유리의 겹치기, 색등을 이용하고
- Von Gerkan 특수구조, Otto Frey 특수구조
- 제3세계의 도심 부동산 건물 중심으로 하이테크 건축물이 크게 늘어난다.

 

 

 

출처 : 구조주의와 하이테크
글쓴이 : NAYA~~ 원글보기
메모 :